목화재배와 면포생산 보급의 선구자 - 문익점 나눔글꼴 미리보기네이버 한글캠페인도움말양성지조선을 위한 경륜가 이전 캐스트로 가기 접기 붓두껍 전설의 허와 실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는 사적 제108호 목면시배유지(木棉始培遺址), 즉 문익점과 정천익이 처음으로 목화를 재배한 터가 있다. 경남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에는.. 인물한국사 2017.03.13
나는 단종의 신하다 - 박팽년 세종의 총애를 받은 집현전 학사 박팽년(朴彭年, 1417~1456)은 1417년(태종 17)에 출생하여 1456년(세조 2) 단종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순절한 조선 초기 문신이다. 순천이 본관인 박팽년의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醉琴軒)으로 회덕 출신이며, 부친은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이다. .. 인물한국사 2017.03.03
세조의 왕비, 조선 전기 정치사에 족적을 남기다 - 정희왕후 조선 7대왕 세조의 왕비인 정희왕후(貞熹王后,1418~1483)는 세종부터 성종까지 조선이 개국 이후 혼란을 수습하고 안정을 찾아가는 과정을 가장 가까이서 목격하고, 또 적극적으로 정치에 관여한 여인이다. 처음 왕자의 아내로 조선 왕실과 인연을 맺은 그녀는 이후 왕비가 되었고, 왕을 고.. 인물한국사 2017.03.02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의 작가이자 생육신의 한사람 - 김시습 “나는 어려서부터 성격이 질탕(跌宕)하여 명리(名利)를 즐겨하지 않고 생업을 돌보지 아니하여, 다만 청빈하게 뜻을 지키는 것이 포부였다. 본디 산수를 찾아 방랑하고자 하여, 좋은 경치를 만나면 이를 시로 읊조리며 즐기기를 친구들에게 자랑하곤 하였지만, 문장으로 관직에 오르기.. 인물한국사 2017.02.28
폐세자의 불행한 운명과 긴 인생 - 양녕대군 모든 사람에게 자신의 삶은 거대하고 복잡한 운명의 드라마일 것이다. 모든 인간의 탄생과 종말은 적어도 그 개인에게는 우주의 시작과 멸망만큼 절대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이처럼 모든 운명은 복잡하고 난해하고 절대적이지만, 그것의 현실적 의미는 상당한 차이를 갖는 것도 사실이.. 인물한국사 2017.01.13
신무기로 왜구를 섬멸한 화약의 아버지 - 최무선 고려후기 사회는 왜구의 침략으로 백성들이 많은 고통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최무선(崔茂宣,1325~1395)은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을 발명하고, 이를 이용한 무기를 만들어 왜구를 물리친 위대한 과학자이자 무인이었다. 그는 중국으로부터 화약을 수입하여 고작해야 불꽃.. 인물한국사 2017.01.12
조선 정치제도의 기틀을 마련한 국왕 - 성종 나눔글꼴 미리보기 네이버 한글캠페인 도움말 조선의 제9대 국왕인 성종(成宗, 1457~1494, 재위 1470~1494)은 그 묘호(廟號)가 상징하듯이 여러 업적을 이룸으로써 왕조를 안정적 기반 위에 올려놓은 임금이었다. 그는 왕위 계승의 정상적인 서열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12세의 어린 나이로 갑작.. 인물한국사 2017.01.11
전제왕권의 몽상과 파탄 - 연산군 조선 제10대 국왕 연산군(燕山君, 1476. 11. 7~1506. 11. 6, 재위 1495~1506)은 조선시대뿐 아니라 한국사 전체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군주일 것이다. 그 명성은 물론 오명이다. 12년에 걸친 길지 않은 치세 동안 두 번의 사화(士禍)를 일으키고, 극도의 폭정을 자행하다가 결국 조선 최초의 반정1)(反.. 인물한국사 2017.01.11
조선 초기 음악을 정리한 음악이론가이자 문화예술 행정관료 - 박연 흔히 고구려의 왕산악, 신라의 우륵과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악성으로 알려져 있는 박연(朴堧 , 1378.8.20~1458.3.23)은 음악가 이전에 꽤 높은 자리까지 오른 문화 행정 관료이기도 하였다. 그는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보고 이를 적극적으로 후원해준 훌륭한 임금 세종을 만난 덕에 역사 속.. 인물한국사 2017.01.10
인도에서 불경을 가져와 백제 불교의 발전에 큰 공을 세운 승려 - 겸익 불교의 발상지 인도는 머나 먼 나라였다. 인도를 방문한 유명한 스님으로 [왕오천축국전]을 쓴 신라의 승려 혜초가 있지만, 그 보다 200년 앞서 인도에 유학을 갔다가 불경을 가져와 백제 불교를 발전시킨 스님이 있었다. 그가 겸익이다. 중국화된 불교를 받아들인 백제 겸익(謙益, ?~?)은 .. 인물한국사 2017.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