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공주의 남자' 역사왜곡? 역사와 대결한다.

히메스타 2011. 10. 6. 14:32

- '공남', 새로운 사극의 징후일까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드라마 공감] '공주의 남자'에 가장 흥미로운 장면은 뭘까. 이는 물론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것이다. 혹자는 수양대군이 세종, 문종 때의 원로신하들은 물론이고 어린 단종까지 폭압으로 밀어내고 정권을 잡은 그 정치적인 사건, 즉 계유정난이 가장 흥미로운 장면이라 말할 것이다. 실제로 정통사극이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을 때, 수양대군과 단종, 사육신의 이야기는 반복해서 제작될 정도로 매력적인 소재였다.

하지만 혹자는 이 사극에서 더 흥미로운 것이 원수지간인 수양대군(김영철)의 딸 세령(문채원)과 김종서(이순재)의 아들 승유(박시후)의 조선시대판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말할 것이다. 실제로 세령과 승유의 이 이루어질 수 없는 위험한 사랑과, 정종(이민우)과 경혜공주(홍수현)의 애틋한 사랑만을 떼어놓고 보면, 이 사극은 완벽한 멜로드라마로 분류될 수 있다.

이것은 사극과 멜로드라마가 본래 궁합이 잘 맞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대극에서 멜로드라마는 이미 힘을 잃은 지 오래다. 삼각 사각관계와 신데렐라 이야기, 혹은 출생의 비밀이 덧붙여진 멜로드라마들은 이제 그 이야기구조를 대중들에게 들켜버렸다. 따라서 이런 설정 자체가 과장이며 개연성이 떨어진다고 여겨지게 되었다. 하지만 사극 속에서의 멜로는 다르다. 과거로 시간을 되돌리면 이야기성은 다소 과장되더라도 허용되는 구석이 있다. 게다가 사극의 멜로는 극성이 현대극보다 훨씬 강하다. 현대극의 멜로가 만들어내는 파장이 가슴앓이나 마음의 상처라면, 사극 속에서의 멜로는 가문 전체가 죽음을 당하는 피바람을 가져올 수 있다.

'공주의 남자'는 바로 이 두 흥미로움, 즉 계유정난이라는 역사적인 소재와 그 속에 잘 녹아든 멜로, 이 두 바퀴로 굴러가는 사극이다. 작금에 사극들이 장르화되면서 이런 류의 작품을 그저 '멜로 사극'이라고 지칭할 수 있지만, 같은 멜로라도 '공주의 남자'의 멜로는 '성균관 스캔들'의 멜로와는 다르다. '성균관 스캔들'은 역사보다는 멜로라는 장르에 더 방점이 찍혀 있는데다가 역사적 사건과는 거리가 있어 오히려 허구에 가까운(그래서 때로는 현대극으로 보일 정도인) 스토리를 갖고 있다. 반면 '공주의 남자'는 직접적으로 수양대군과 김종서가 얽혀 있는 계유정난을 전면에 세워두고 있다. 즉 '성균관 스캔들'이 상상력을 위해 역사에서 멀어지려는 선택을 했다면, '공주의 남자'는 그 역사 속으로 들어가 사건들을 상상력에 의해 재구성한다.

이 재구성을 혹자는 역사왜곡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육신이 마치 김종서와의 충심을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것처럼 연출된 장면은 역사적 내용과는 전혀 다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주의 남자'는 어떻게 폭넓은 공감대를 얻고 있을까. 이것은 '공주의 남자'가 역사를 다루는 방식 그 자체가 흥미롭기 때문이다. '공주의 남자'는 역사라는 지극히 공적인 틀을 가져오되, 그 속에 드러나지 않는 개인사들을 끼워 넣는다. 역사와 야사의 결합이다. 그런데 이 결합은 단순히 상상력 차원의 이어붙이기가 아니다. 때로는 개인사가 역사와 대결하는 장면이 그 속에는 들어있다.

그래서 이 사극의 가장 흥미로운 장면은 사실 세령이 수양대군 앞에 앉아 '신체발부수지부모'를 얘기하며 머리를 자르고 "더 이상 부녀지간의 연을 끊자"고 선언하는 부분이다. 수양대군은 공적인 입장(역사적인 입장)에서는 말 한 마디에 사람을 죽이고 살리는 권력의 소유자다. 그런데 그런 수양대군도 딸 세령 앞에서 어쩔 수 없는 한 아비로서의 심사를 드러낸다. 이 장면은 마치 부녀지간이라는 지극히 사적인 관계가 역사와 대결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얼마나 더 많은 피를 보셔야 그 업이 자식에게도 이어진다는 것을 깨달으시겠습니까?"하고 세령이 수양대군을 꾸짖는 장면은 마치 작가의 현재적 관점이 픽션을 통해 역사적 인물을 꾸짖는 듯한 정경을 만들어낸다.

'공주의 남자'가 현재 일련의 사극들의 흐름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건 바로 이 장면 덕분이다. 사극은 한 때 역사라는 사실이 갖는 힘에 기대 정통사극으로 성장했고, 그 역사 바깥의 소외된 인물들을 포착하면서 퓨전사극으로 이어졌다. 그러다 상상력이 역사를 압도하면서 사극은 이제 허구의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그 정점에 '추노'나 '성균관 스캔들' 같은 장르사극들이 자리한다. 즉 사극의 지금까지의 성장과정은 역사를 휘발시키는 동시에 상상력을 무한질주시킨 그 지점에서 발생했던 것이다. 하지만 어찌 사극이 역사 자체를 버릴 수 있을까. 그것은 스스로 사극이라는 존재를 부정하는 일이다.

'공주의 남자'는 여기서 기묘한 선택을 했다. 즉 역사를 선택한 것도 아니고 역사 바깥으로 탈주하는 것도 아닌, 역사적 사건 한 가운데로 들어와 역사적 사실과 상상적 허구를 대결시킨 것이다.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의 병치. 역사와 야사의 병치. 이것은 아직까지는 지상파에서 보기 힘들었던 본격적인 팩션의 구성이자 묘미가 아닐까. '공주의 남자'는 어쩌면 현재 어딘지 정체되어 있는 사극의 흐름 속에서 팩션이라는 새로운 사극이 도래할 것이라는 징후를 말해주는 작품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