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밝은 달밤에 / 밤늦도록 놀고 지내다가 / 들어와 자리를 보니 / 다리가 넷이로구나. / 둘은 내 것이지만 / 둘은 누구의 것인고? / 본디 내 것(아내)이다만 /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
전염병을 쫓는 상징 처용
위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처용(處容)이 불렀다는 노래이다. 처용이 밤늦도록 서울(경주)을 돌아다니며 놀다가 집에 들어가 보니 자기 잠자리에 웬 다른 남자가 들어와 아내와 동침을 하고 있었다. 처용은 화를 내기보다는 이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고 물러 나왔다. 그러자 아내를 범하던 자가 그 본모습인 역신으로 나타나서 처용 앞에 무릎을 꿇고 그의 대범함에 감동하여 약속을 하나 하였다. 처용의 형상이 있는 곳이면 그 문안에 절대 들어가지 않겠다고 맹세한 것이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처용의 얼굴을 대문 앞에 그려 붙여 역신의 방문을 피했다고 한다.
역신이란 전염병을 의미한다. 처용의 이 설화로 인해 민간에서는 처용의 얼굴을 문에 붙여 한해의 병을 피하고자 하였고, 제웅 혹은 처용이라고 하여 짚으로 인형을 만들어 길에 버려 액을 막았다. 궁중에서는 섣달그믐날 처용의 얼굴을 한 탈을 쓰고 처용무를 추는 나례(儺禮)를 행함으로써 나쁜 기운을 막고 전염병을 쫓고자 하였다. 관아에서도 매년 한해를 시작하기 전 처용탈을 쓰고 처용무를 추는 것을 의례로 하였다.
처용무는 처용의 이야기가 전해오는 신라 말엽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이어져 내려온 우리나라 전통의 춤이다. 처용탈의 생김새는 조선시대 [악학궤범]의 기록에 자세하게 남아 있어 비교적 충실하게 그 원형이 보존되어 있다. 처용의 탈은 그 얼굴 생김이 다른 가면에서 볼 수 없는 몇 가지 특성들이 있다. 얼굴의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다소 험상궂으며 얼굴색은 한국 사람과는 다른 붉은색으로 정해져 있다. 성현(成俔, 1439~1504)의 [용재총화]에도 처용탈이 붉고 이가 희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처용탈의 피부색은 붉은색으로 줄곧 이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렇듯 처용은 그 생김부터 상당히 특이했던 인물이었던 것 같다. 그렇다면 근 천 년 이상을 이어져 내려온 잡귀를 쫓는 상징인 처용은 어떤 인물이었을까?
처용은 누구일까?
처용에 대한 기록은 [삼국유사]에 남아 있다.
어느 날 대왕이 개운포(開雲浦, 학성 서남쪽에 있는데, 지금의 울주다)에서 놀다가 돌아가려 하였다. 낮에 물가에서 쉬고 있는데,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깔려 길을 잃고 말았다. 왕이 괴이하게 여겨 신하들에게 물으니 일관(日官)이 아뢰었다.
“동해(東海) 용의 조화입니다. 마땅히 좋은 일을 해주어 풀어야 할 듯합니다.”
그래서 왕은 일을 맡은 관원에게 명하여 용을 위해 절을 세우도록 하였다. 왕이 명령을 내리자 구름과 안개가 걷혔기 때문에 그곳을 개운포라 불렀다.
동해의 용이 기뻐하며 일곱 아들을 거느리고 왕 앞에 나타나 덕(德)을 찬양하며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하였다. 그 중 한 아들이 왕을 따라 서울로 들어와 정사를 도우니, 이름은 처용(處容)이라 하였다. 왕은 아름다운 여자로 처용의 아내를 삼아 머물도록 하고, 급간(級干) 관직도 주었다. - [삼국유사] 권2 처용랑망해사(處容郞望海寺) 편
때는 신라 제49대 왕 헌강왕(憲康王, ?~886) 때였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헌강왕 때는 서울(경주)부터 지방까지 집과 담이 서로 맞닿아있고 초가집은 한 채도 없었으며 길에서는 음악과 노래가 끊이지 않았고, 바람과 비는 1년 내내 순조로운 태평성세였다고 한다. 신라 하대이기는 했으나 헌강왕 때 신라는 경주에 있는 모든 집에서 나무를 때지 않고 숯을 때 밥을 지을 정도로 사치와 풍요의 최정점을 찍은 시기였다. 기록에 의하면 헌강왕은 불교와 국학에 관심을 가진 문화적인 임금이었고 상당히 풍류를 즐겼던 것 같다. 그가 행차할 때마다 각 지역의 신이 나타나 그에게 춤을 선보였다는 것을 보면, 그는 춤과 노래도 꽤 좋아했던 것 같다.
이러한 헌강왕이 동해로 행차했을 때 나타난 처용과 그의 가족은 왕에게 역시 노래와 춤을 선보이고 신임을 얻는다. 헌강왕은 처용이 나타났을 때 절을 지어주겠다는 약속을 지켜 동해를 바라보는 절 망해사를 지었다. 처용은 형제들과 헤어져 왕을 따라 경주로 와서 정착해 아내도 얻고 벼슬도 얻었다. 이때 그가 얻은 아내가 너무도 절세미인이라 앞서 에피소드에서 역신이 그의 아내를 넘보았던 것이다.
처용이 노래와 춤을 잘하고 용의 아들을 자처하며 역신을 내쫓았다는 것을 보면 처용은 무속적 성격을 지닌 인물로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 왕은 처용에게 아내와 벼슬자리까지 주면서 자기 곁에 두고 왕실의 안녕과 병마를 내쫓으려고 했던 것 같다.
[삼국유사]에서는 처용을 용의 아들이라고 하였지만, 처용의 신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다. 실제로는 당시 울산 지방에 있었던 호족(豪族)의 아들이라고도 하고, 혹은 당시 신라에 내왕하던 아라비아 상인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처용탈의 생김이 매우 이국적인 것과 [고려사] 악지에 기록된 처용의 모습을 볼 때 그가 외국인일 가능성은 꽤큰 듯하다.
신라 현강왕이 학성에 갔다가 개운포로 돌아왔을 때, 홀연히 한 사람이 기이한 몸짓과 괴이한 복색을 하고 임금 앞에 나아가더니, 노래와 춤으로 덕을 찬미하고 임금을 따라 서울로 들어갔다. 그는 자기를 처용이라 불렀으며 언제나 달밤이면 시중에서 노래 부르고 춤을 추었으나, 끝내 그가 있는 곳을 알지 못하였다. 당시 그를 신인이라 생각하였다. 후세 사람들이 그 일을 기이하게 여겨, 이 노래를 지었다. - [고려사] 권제71, 36장 앞쪽~뒤쪽
기이한 몸짓과 괴이한 복색에서 그가 신라인이 아니라 외국에서 들어온 사람일 거라는 추측을 하는 것이다. 실제 헌강왕 시절 동해의 울주 지역은 번화한 항구였고 [삼국사기]에 헌강왕 때 보로국(寶露國, 여진)과 흑수국(黑水國, 말갈) 사람들이 신라와 통교를 청하기도 하였으며, 중국 당나라와 일본과의 교섭을 꾀하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이 시기 국제적인 교류가 꽤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처용을 무역을 하러 온 아라비아의 상인으로 추측하는 의견이 많은 것이다.
[쿠쉬나메]의 발굴과 처용설화와의 관계
이와 관련하여 최근 꽤 흥미로운 학술적 발견이 이루어져 이때까지 미스터리로 남아 있던 처용의 출신을 밝힐 가능성이 커졌다. 고대 페르시아의 서사시 [쿠쉬나메]에 신라와 관련된 기록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쿠쉬나메]는 ‘쿠쉬의 책’이란 의미이며 쿠쉬는 이 서사시의 주인공이자 영웅이라고 한다. 이 서사시에는 7세기 중엽 멸망한 사산왕조 페르시아의 유민들 이야기가 다루어지고 있는데 지도자인 아비틴이 바닷길로 유민들을 이끌고 신라로 와서 정착했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아비틴은 신라왕의 환대를 받고 마침내 신라 공주 프라랑과 결혼하며 둘 사이에 태어난 왕자 파리둔이 후일 아랍군을 물리치고 조상의 원수를 갚는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뒷부분만 빼면 처용의 설화와 상당히 비슷한 부분이 많다.
[쿠쉬나메]는 11세기경에 만들어져 구전되다가 14세기에 필사되었으며 그 원본은 영국에 소장되어 있다. 이란에서는 이 책이 1998년 인쇄본이 출간되면서 본격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쿠쉬나메]에 나오는 영웅 아비틴이 신라에 온 시기가 헌강왕 무렵으로 되어 있고 [삼국유사] 이외에 [삼국사기]에도 기이한 차림의 사람들이 헌강왕 때 나타난 기록이 있다.
5년 3월에 왕은 나라의 동쪽 지방의 주 군에 행차하였다. 이때 알지 못하는 사람 4명이 어전에 나타나서 노래하고 춤추는데 그 모양이 괴이하고 의관도 다르므로 사람들이 말하기를 ‘산해(山海)의 정령’이라 하였다. – [삼국사기] 권 11 헌강왕 편
이를 볼 때 처용은 아비틴 혹은 아비틴을 따라온 유민 중 한 사람일 가능성이 있다.
물론 [쿠쉬나메]가 정통 역사서가 아니고 서사시이며 구전된 것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기록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머나먼 페르시아에서 신라라는 나라를 인지하고 그에 관한 이야기가 남아 있다는 것은 꽤나 흥미롭고 중요한 일인 것은 분명하다. 더불어 신라의 고분에서 출토되는 페르시아산으로 보이는 부장품들도 이러한 국제적 교류의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완전한 번역작업이 이루어져 신라와 페르시아와의 관계가 밝혀지면 그 속에 처용이라 추측되는 인물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될 것이고 어쩌면 처용의 출신도 이 기회에 밝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인물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왕 - 정치, 문화의 발전으로 발해의 국력을 키우다. (0) | 2018.02.05 |
---|---|
양지 - 신라 최고의 불교 예술 장인 (0) | 2018.02.01 |
성종 - 고려시대, 유교사회의 기틀을 확립하다. (0) | 2018.01.17 |
구진천 - 신라의 노 기술자 (0) | 2018.01.09 |
이의민 - 무신정권의 황금기를 열다. (0) | 2018.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