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할만한 것들

(실버뉴딜) 아이 더 낳느니 군대를 또 가겠다

히메스타 2010. 3. 24. 09:48

10년차 출판기획자인 35세 남성 김모씨는 최근 거래처와의 저녁 회식자리에 6세 아들을 데리고 나갔다. 술자리로 이어질 모임이라 "분위기를 해칠까" 걱정이 컸지만 아예 얼굴을 비치지 않을 요량이 아니라면 별 도리가 없었다. 마침 이날 대기업 직원인 부인 역시 빠질 수 없는 회식이 있다고 했다. 그는 둘째 낳을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포기한 지 오래"라고 했다.

방송국 PD인 이씨는 30대 중반에 결혼해 현재 4개월된 아들을 키우고 있다. 그도 역시 맞벌이 부부다. 평일 낮엔 장모가 아이를 돌보지만 저녁엔 부인과 번갈아 '당번'을 맡는다. 형제없이 외아들로 큰 그는 결혼 전까지만 해도 "셋도 좋지만 적어도 둘"을 고집했고 부인은 "없어도 상관없지만 꼭 낳아야 한다면 하나"로 서로 생각이 달랐다. 하지만 이씨는 아이를 하나 낳고는 부인의 '출산파업'에 자발적으로 동조했다. 이씨는 "육아는 전쟁"이라며 "둘째를 낳느니 차라리 군대를 한번 더 갔다 오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부부들의 '출산파업'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우리나라의 2009년 합계출산율은 1.15명에 그쳤다. 정부가 출산을 독려하는 각종 정책을 발표하고 있음에도 합계출산율은 2007년(1.25명)과 2008년(1.19명)에 이어 지난해까지 오히려 하락 추세를 막지 못했다. 이는 OECD 국가의 합계출산율(2006년) 평균 1.65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치로 회원국 중 사실상 꼴찌다. 미국은 2.1명, 프랑스는 1.98명, 스웨덴 1.85명, 영국은 1.84명 등 주요 선진국은 '2'에 근접했다.

▶셋째는 무슨…, 둘째도 그만 둘래요

=정부 정책과 국민들의 실제 생활과 괴리가 심각하다. 정부는 특히 셋 이상을 출산한 다자녀 가구에 주택구입, 학자금, 양육비 등에 각종 지원정책을 집중적으로 펴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셋째 이상 지원정책이 가임 부부에게 출산 동기가 전혀 되고 있지 못한 것이다. 도리어 결혼이나 첫째 출산 전 2~3명의 자녀를 원하다가도 막상 하나를 낳고서는 '출산파업'에 동참하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첫째를 키우면서 진이 빠져 더이상의 출산을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다자녀 출산을 독려하는 정부의 의지가 전혀 먹혀들지 않고 있다는 것은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셋째 아이 이상의 출산은 4만2100명으로 전년보다 5% 감소했다. 지난해 셋째 아이 이상의 출산은 2005년의 4만1450명 이후 역대 두번째로 적다.

출산기피에는 계층이 없다. 소득이 적으면 적어서, 많으면 많은대로 문제다. 부부 모두 전문직으로 합산 연봉 1억원에 근접하는 한 직장인 남성은 "첫째를 키우는 데 경제적, 시간적, 육체적으로 전쟁을 치르는데, 셋째를 지원한들 무슨 소용이냐"며 "한 자녀를 낳아도 양육이 수월하면 자연히 둘째도 생각하게 되지 않겠느냐"고 정부의 지원정책의 모순을 꼬집었다. 중산층이 무너지고 있는 가운데 절대적인 양육비 문제로 출산을 주저하는 저소득층도 문제지만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고소득 고학력 맞벌이 부부들의 출산파업도 심각하다.

▶출산파업의 이유

=우리나라의 기혼 직장인 여성들이 자녀를 키우면서 가장 큰 어려움을 꼽는 것은 '과도한 양육 및 가사 부담'으로 30.7%에 이른다(2004년 통계청). 그 다음이 양육비용(25.2%)이고, '믿고 맡길 곳이 마땅하지 않다'는 답변이 23.1%였다. 결국 믿고 맡길 곳이 없으니 양육은 전적으로 여성 책임이 되고, 이것이 과도한 부담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실제 부인이 취업한 가정의 경우에도 미취학자녀를 가장 많이 돌보는 사람은 여성으로 무려 82.7%나 됐고, 아버지는 1.6%에 불과했다.

출산중단의 이유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크지만 그뿐만은 아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에 따르면 전반적으로는 '자녀양육의 경제적 부담'이 출산중단의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나는 가운데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육아 인프라의 부족'과 '일ㆍ가정 양립 곤란'의 응답비율이 높다.

여성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과제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1970년 39.9%에서 지난해 53.9%로 늘어났지만, 같은 기간 합계출산율은 4.53명에서 1.15명으로 떨어졌다. 여성 취업율이 늘수록 출산을 기피하는 사례도 증가한다는 말이다. 반면 주요 선진국은 여성고용률과 합계출산율이 동시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합계출산율은 낮아졌지만 체감하는 육아부담은 오히려 커지는 기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합계출산율은 지난 1998년 1.45명에서 2008년 1.19명으로 떨어졌지만 '여성 취업에 가장 장애가 되는 요소는 육아부담'이라고 대답한 비율은 29.3%에서 45.9%로 오히려 대폭 늘었다.

▶결국은 돈 문제

=모든 파업은 결국 돈 문제로 귀결된다. 출산파업도 마찬가지다. OECD 각국의 상황을 보면 관련 정부지출과 합계출산율간의 관계는 정비례한다. 정부가 돈을 많이 쓸수록 출산율도 올라간다.

OECD 회원국 중 출산율에서 꼴찌인 우리나라는 관련 정부지출도 바닥이다. OECD국가의 GDP대비 가족지원정책 정부지출 비중은 평균 2.3%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8분의 1 수준인 0.3%에 불과하다. 가임 여성 한 명당 1.98명을 낳는 것으로 조사돼 가장 성공적인 출산정책을 편 것으로 평가받는 프랑스는 3.8%로 세계 최고다. 영유아 보육 및 교육 서비스의 GDP대비 정부지출 비중 역시 OECD 평균이 0.7%인데우리나라는 0.14%에 불과하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물가상승없이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 추정치가 1986~1990년 10.1%에서 2006~2009년 3.0%로 3분의 1수준으로 감소했다. 노인부양비를 증가시키고 노동력ㆍ총공급ㆍ총수요ㆍ를 감소시켜 경제성장률을 하락시키는 '출산파업'의 충격은 이미 우리 경제와 사회에 직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정부가 아무리 목청을 높이고 머리를 쥐어짜도 답은 한 가지다. 출산파업을 선언한 부부들의 목소리도 마찬가지다. 국가 최우선 과제인만큼 돈을 더 쓰라는 것이다. 지난 2007년 통계청 조사에서 전체의 77%가 자녀 양육 가정을 지원하는 정부 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