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사람이 늙는 이유 밝혀 냈다

히메스타 2010. 2. 17. 08:38

英·獨 연구진 "암 같은 치명적 손상 방어 위해"

노화는 암과 같은 치명적인 신체 손상을 막기 위한 방어 목적에서 시작되는 현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가 노화에 대한 새로운 생화학적 경로를 밝혀내면서 당뇨, 심장병과 같은 노화 관련 질병의 치료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영국 뉴캐슬대학과 독일 울름대학 연구진이 < 분자시스템생물학 > 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노화 현상은 염색체의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신체가 해당 세포의 분열을 막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과정은 이렇다. 나이가 들면서 세포가 염색체의 심각한 손상을 감지하면 신체는 특정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가 전달되면 에너지 생성 기능을 하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가 정상적인 분자를 산화시키고 그 결과 세포는 파괴되거나 분열을 멈추게 된다. 이로 인해 신체는 심장 기능 약화, 주름과 같은 퇴화의 징후를 보인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이 모든 노화 과정은 사실상 세포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15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세포가 신호를 보내 스스로를 파괴하는 것은 손상된 염색체가 (계속된 세포분열을 통해) 암과 같은 질병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한마디로 우리 몸 스스로가 문제세포와 치른 전투의 흔적이 노화인 셈이다.

연구진은 이 사실을 컴퓨터모델, 세포 배양조직, 유전자변형 쥐를 사용한 실험 등 다양한 연구를 동시에 실시한 시스템 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밝혀냈다.

현대 생물학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시스템 생물학은 생물학적 시스템의 본질적인 원리를 발견하고 재구성해 질병을 유발하는 비정상적 생리현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학문이다.

반면 연구진은 노화의 열쇠를 쥐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큰 관심을 끌었던 '텔로미어(염색체 끝에 붙어있는 세포시계 역할을 하는 유전물질로 노화가 진행될 수록 짧아짐)'의 역할은 낮게 평가했다.

뉴캐슬 노화건강연구소의 톰 커크우드 소장은 "염색체 말단에 있는 텔로미어의 부식을 막음으로써 노화와 관련 질병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지만, 이는 너무 과도한 기대이며, 생물학은 훨씬 더 복잡하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진은 자신들의 이번 연구가 노화를 막는 묘약 생산으로 금세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한계를 인정했다. 연구진은 FT에 "우리의 연구는 노화 관련 질병을 극복하고 당뇨, 심장병, 암과 같은 노화에 따른 부작용의 위험을 더 성공적으로 막아낼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