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욕봤데이, 홍석아"

히메스타 2012. 7. 18. 11:10



SBS '추적자' 시청률 22.6%로 종영

명품대사·치밀한 스토리·배우열연 하모니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 "후보님, 여기는 대한민국입니다".

결국 이거였다. 듣는 순간 전기에 감전된 듯 온몸을 찌릿찌릿하게 만든 이 대사는 '추적자'가 궁극적으로 '지적'하고 싶었던 말이었다.

출발점과 전개 과정에서도 그리고 결말에서도 드라마는 그 안의 이야기가, 그리고 시청하는 우리가 대한민국 안에 있음을 마디마디 극 사실적으로 강조하며 폐부를 찔렀다.

먼 길을 돌아 외관상으로는 마침내 정의가 실현되며 드라마는 끝을 맺었지만 작가도, 시청자도 안다. 여기는 대한민국임을.


유력 대통령 후보 보좌관이자 자기 자신 국회의원을 꿈꾸는 야심 찬 전략가 신혜라(장신영)는 부와 권력이 지배하는 대한민국에서 정의란 만들고 포장하기 나름이라고 확신한다.

사면초가 궁지에 몰린 상황에서도 "여기는 대한민국"임을 강조하며 권력과 부를 향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혜라의 태도는 다분히 작가의 자조적인 표현이었다. 하지만 사실은 우리의 슬픈 자화상일 수도 있다는 점을 알기에 시청자는 또 한번 '열광'했다.

방영 내내 큰 화제를 모은 SBS TV 월화극 '추적자'가 지난 17일 16회의 막을 내렸다.

마지막회 시청률은 22.6%. 자체 최고 기록이자 동시간대 압도적인 1위다. KBS '빅'은 7.8%, MBC '골든타임'은 7.4%였다.

'쪽대본'에 시달리며 힘겹게 종착역까지 온 까닭에 마지막회에서는 법정신에서 인물의 상이 반사판에 투영돼 두 개로 나타나는 등 후반으로 갈수록 허점이 곳곳에 노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추적자'는 그러한 허점이 사소하게 느껴질 만큼 탄탄하면서도 뼈있는 스토리를 과시했다.

매회 주옥같은 대사의 열전을 펼친 드라마는 15회에서 명대사의 절정판을 보여준 데 이어 마지막 16회에는 현 실정법의 테두리 안에서 드라마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마무리를 하며 끝났다.


평범한 소시민의 삶이 절대 부와 절대 권력의 농간으로 하루아침에 산산이 부서질 수 있음을 치밀하고도 개연성 있게 그려 보인 드라마는 그래도 마지막에는 희망의 불씨를 남겨두며 극적 판타지를 구현했다.

◇"욕봤데이"..명대사 열전 = 등장인물들이 입만 열면 시 같은, 철학적인 대사가 쏟아져나왔다.

그중에서도 산전수전, 공중전을 치른 노회한 재벌 회장 서동환(박근형)은 절대 직설법을 쓰지 않는 은유법의 대가였다.

"이 나라 백성들 맘을 우예 알겠노. 4.19가 일어났을 때 민주주의다 뭐다 그래 난리를 치더이만, 한 해 뒤에 5.16이 일어나니까 민주주의보다 경제 발전이 중요하다고 난리를 쳤다 아이가.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른 게 이 나라 백성들의 맘인기라"(대선 개표 결과를 지켜보며 민심에 대해 이야기할 때)

"대통령이 모라꼬? 로마로 치자면 평민들이 뽑는 호민관 아닌가. 이 나라는 고 위에 원로원, 집정관, 황제가 있데이"(절대 권력도 자신이 가진 돈의 논리 앞에 무력할 수 있다는 뜻)

"자존심은 미친년이 머리에 꽂고 있는 꽃과 같다. 시골 마을에 꽃 꽂고 다니는 미친년이 얼굴을 만지고 때려도 하하 웃던 애가 머리에 꽃을 만지면 살쾡이로 변해서 덤비더라. 자기한텐 머리의 꽃이 제 몸보다 중요한 거다"(전략전술을 구사할 때 상대방의 아킬레스건은 신중하게 건드려야한다는 뜻)

"욕 봤데이"(서회장의 트레이드마크와도 같은 수사법. 많은 뜻을 담고 있다)


◇"사건을 복잡하게 만들면 국민은 잊을 겁니다"..현실을 투영한 거울 = '추적자'는 부와 권력의 민낯과 그 상호작용을 실감 나게 그려냈다.

서회장의 사위이자 개천에서 난 야심만만한 용인 강동윤(김상중)은 가면을 쓰기 전과 후 정치인의 모습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줬다.

"정치란 건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게 아냐. 상대가 듣고 싶은 말을 해주는 거지"

"큰 마차가 먼 길을 가다 보면 깔려 죽는 벌레도 있기 마련이지"

"저는 정치에 입문한 뒤 단 한 번도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말한 적이 없습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 정치는 국민에게 거짓만 말해왔습니다. 저 강동윤이는 진실만을 말하겠습니다."

이런 말들은 TV 뉴스에서 매일같이 보고 듣는 현실 속 정치인들의 말과 오차 없이 겹쳐진다.


비상한 두뇌를 지닌 강동윤의 보좌관 신혜라도 압권이었다. 사건을 은폐하고 조작하며 위장하고 인멸하는 데 그는 아마도 세계 최고 수준의 실력을 자랑하리라.

"혼란스러운 상황을 만들겠습니다. 믿든 안 믿든 상관없습니다. 국민은 혼란에 빠질 테니. 논란과 의혹이 쌓이고 사건을 복잡하게 만들면 국민은 잊을 겁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요."

강동윤이 자신과 아내의 범죄를 은폐하는 과정은 현실에서 우리가 마주하는 사건들에 비해서는 한참이나 덜 복잡하다.

드라마는 시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건의 조작 과정을 최대한 단순화하면서도 '사건을 복잡하게 만들면 국민은 잊을 겁니다'는 불멸의 공식(?)에는 방점을 찍으며 시청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판사님 내 죄가 뭡니까"..법 앞에 만인은 평등한가 = 주인공 백홍석은 법정 살인죄와 도주죄 등으로 결국 1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그는 이를 피하지 않았다. 오로지 진실이 밝혀지길 바랐다.

백홍석은 재판에서 "지금까지 모든 일이 죄는 짓고 벌을 안 받으려다 벌어진 일이잖습니까? 전 벌을 받겠습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내 죄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 판사님, 내 죄가 뭡니까?"라고 반문했다.

돈과 권력의 농간으로 진실이 땅에 묻히고 사실이 날조되는 상황에서 힘없는 소시민은 과연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방법을 알려달라는 호소였다.

그는 변호사가 자신을 심신상실로 몰고가 형량을 낮추려고 하는 것을 제지하며 "제가 심신상실로 법정에 와서 총을 쐈으면 제가 이상한 겁니다. 법은, 이 세상은, 아무것도 문제가 없는데 내가 이상한 놈이 되는 거지 않습니까"라고 지적했다.

이어 "저는 그때 정상이었습니다. 그런데도 그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내 죄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라고 항변했다.

법정에 훔친 총기를 들고 난입해 진실을 밝혀달라고 요구하는 것 외에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었다는 것이다.

백홍석의 변호를 맡은 최정우(류승수)는 "난 서회장과 백홍석이 사는 나라가 같은 대한민국일까 의문이 든다"며 법치주의 국가에서 법조인인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자문했다.

서회장은 마지막에 아내의 죄까지 뒤집어쓰며 침몰하겠다는 사위 강동윤에게 "욕봤다, 동윤아"라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러나 시청자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욕봤데이, 홍석아"